-
통조림 스팸의 역사?카테고리 없음 2022. 7. 25. 17:04
쌀밥만큼 스팸에 어울리는 조합을 찾기란 어렵다.
실제로 1인당 스팸 소비량은 스팸의 본 고장인 미국에 앞서 우리나라가 1위라고 한다.그러나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각각 스팸이 가지는 이미지가 극과극인데 미국에서는 싸구려 우리나라에서는 고급 이미지를 지닌다 스팸은 미국의 작은 정육 업체였던 "호멜 푸드" 라는 곳에서 만들어졌다.
"호멜 푸드" 설립자의 아들인 "제이 호멜"은 1차 대전때 군 장교로 복무하면서 군수품을 담당했다.
이때 뼈가 붙어 있어 무거운 고기를 운반하는 것에 문제를 느끼고 운반이 편리한 고기 통조림의 필요성을 체감 했다.
1차 대전이 끝나고 그는 세계 최초의 통조림 햄 을 개발했는데 이는 돼지 넓적다리를 사용했다. 이를 만들고 남는 어깻살이 부산물로 남았는데 처리하기가 매우 곤란했다, 이유는 어깨 쌀이 뼈를 분리 하기 어렵고 적은 양이 나오는 부위이긴 했지만 맛은 의외로 좋은 부위였기 때문이다.
제이호멜은 자기 회사 소속 요리사에게 이 부산물로 상품을 만들어 보라 지시했고 해당 요리사는 어깻살을 갈아 조미료를 넣고 삶아 캔에 담는 상품을 개발해냈다. 이것이 바로 스팸이였다. 원래 명칭은 홈 / 스파이드 / 햄이었는데 너무 긴 이름이 팍 꽂히지 않아 인기가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제이호멜은 상품명 공모전을 시행했고 그때 1등 을 수상했던 이름이 바로 스팸(SPAM)이었다.
짧고 깔끔한 이름이 스팸으로 명칭을 바꾼 뒤 인기가 급상승하였고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스팸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스팸은 스팸메일, 스팸문자에 쓰이는 그 스팸이다.
이는 세계 2차대전때 스팸이 폭발적으로 확산된 역사 관련있다.
미국이 연합국에 지원하기 위한 전투식량을 찾던 중 스팸이 휴대가 쉽고 상하지 않는 완벽한 전투식량이였다.
미국은 호멜사에 돼지를 전폭 지원했고 호멜사가 만든 초대형 물량의 스팸을 연합국의 융단 폭격 수준으로 공급했다.이 때문에 전선에서는 아침 스팸 점심 스팸 저녁도 스팸 상황이 발생했다. 특히 영국의 경우 2차 대전이 끝난 후에도 물자부족으로 인해 식량 배급제를 유지했는데 이때도 미국의 스팸 지원은 계속되어고 스팸은 배급제애 제한 받지 않고 영국인들이 자유로이 먹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식품이 되었다.
영국의 배고픔을 달래준 고마운 식량으로 출발했지만 삼시 세끼를 질리도록 만든 스팸을 영국인들은 조롱하였고 이때문에 스팸은 "쓸데없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오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가 되었다.
이러한 스팸은 6.25 전쟁 때 미군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육류 섭취가 거의 불가능 하다시피 했던 당시 스팸은 미군과 연줄이 있는 자만이 먹을 수 있던 고급 음식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이후 부대찌개등의 찌개류 살짝 궁합을 이루며 자연스레 한국인은 식문화에 들어섰고 CJ가 호멜푸드의 기술을 사와서 직접 생산하기 시작했다.88올림픽을 앞두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세계인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CJ는 스팸을 글로벌 푸드 라는 키워드로 마케팅 하여 스팸의 호감도는 더욱 높아졌다.
또한 미국에서 중산층 이하 소비자를 타겟으로 광고를 제작하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탑 연예인을 광고모델로 하여 스팸에 고급 이미지를 확보했다.
이후 스팸 매출은 폭발적으로 성장했으며 스팸은 가장 인기 많은 명절 선물 품목으로 자리 잡았는데 이는 외국인들이 신기해 하는 한국의 문화라고 한다.
이후 한국에서 스팸은 같은 중량의 일부 돼지고기보다 비싼 가격을 형성하는 특별한 가공육이 되었다.